Study/AWS

[AWS][EC2] 윈도우로 SSH접속 및 JAVA 11설치, 타임존 변경, HOSTNAME 변경

토기발 2023. 7. 21. 22:20

배포를 위해 AWS를 사용하기로 했다. 그래서 EC2 인스턴스도 생성하고 접속을 하려고 했는데 윈도우의 경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.

 
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UserGuide/putty.html

 

PuTTY를 사용하여 Windows에서 Linux 인스턴스에 연결 - Amazon Elastic Compute Cloud

프라이빗 키의 암호는 추가 보호 계층입니다. 프라이빗 키가 노출되더라도 암호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암호문 사용의 단점은 인스턴스에 로그온하거나 인스턴스에 파일을 복사하기 위해 사

docs.aws.amazon.com

이 공식문서에서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나중에 또 할 일이 생길 것 같아 설명해보는걸로 ^^

 

https://www.chiark.greenend.org.uk/~sgtatham/putty/latest.html

먼저 PuTTY를 다운받는다.

PuTTY로 ec2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선 .pem으로 끝나는 ec2 키페어 파일을 PuTTY 개인키로 변환해 주어야 한다.

때문에 PuTTYgen.exe를 실행한다.

import key를 눌러서 .pem 파일을 불러온다.

키 생성이 완료되면 save해서 PuTTY개인키를 저장해준다.

 

그 후 

 

세팅에서 주소를 입력한다.

호스트네임 앞에 ec2-user@를 넣은 이유는 Amazon Linux의 경우 유저네임이 ec2-user@이라서 기입했다.

나는 주소의 경우 재시작할 때마다 ip가 바뀌는 것이 싫어서 탄력적 ip주소를 입력했다. 

aws에서 생성했던 인스턴스를 클릭 후 퍼블릭IPv4에 있는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.

 

이 때 바로 오픈을 클릭하지 말고

해당 경로로 들어가서 아까 만들었던 PuTTY 개인키를 불러온다.

그 후 다시 session으로 돌아가 open을 누르면 접속 성공!

 

이런 화면이 뜬다.

 

이제 자바를 설치해보자!

나는 프로젝트에서 11버전을 사용하고 있어서 11버전을 설치했다.

sudo yum install java-11-amazon-corretto

잘 설치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

java -version

을 입력해 확인해보자.

 

11버전이 잘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그리고 타임존을 변경해보자.

EC2의 기본 타임존은 UTC이다. 이는 세계 표준시간으로 한국의 시간대가 아니다.

한국과는 9시간이나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한국시간(KST)로 꼭 변경해야한다.

date로 타임존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 sudo 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

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KST로 변경된다.

확인 방법은 date를 입력하면 된다.

 

잘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+호스트네임을 변경해보자

여러 서버를 관리중이라면 IP만으로 어떤 서비스인지 확인이 어렵다.

어느 서버인지 표현하기 위해 HOSTNAME을 변경해보자.

 

 

sudo hostnamectl set-hostname 이름.localdomain

를 입력한 후 서버를 재부팅하면 변경되어 있다.

이후 

sudo vim /etc/hosts

명령어를 입력한 뒤 

 

127.0.0.1 등록한HOSTNAME

를 기존 문자 아래에 입력해준다.

 

 

마지막으로 curl 호스트이름 을 입력했을 때

이런 문구가 나오면 잘 등록된 것이다 : ) 

 

 

 

 

 

 

참고출처:
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UserGuide/set-hostname.html#set-hostname-system

https://bbeomgeun.tistory.com/157

https://longtermsad.tistory.com/63